입시 스트레스 없는 즐거운 수업 _ 류지혜 가락중학교

 

Q. 명예교사 프로그램 참여 계기는 무엇인가요.
A. 미술선생님께서 한번 참여해보라는 추천을 해주셨어요. 저는 아직 미술을 공부하진 않지만 미술에 대한 재미를 느껴가고 있었거든요. 선생님께서 추천해주셔서 듣기 시작했지만 한 두 번 수업을 듣다 보니 이제는 제 스스로 참여하고 싶은 의지가 생겨서 열심히 듣고 있어요.

 

Q. 프로그램에 참여한 소감을 말씀해주세요.
A. 처음에 한국화라는 것이 낯설게 느껴졌어요. 제가 알고 있는 동양화는 그림을 그리기 전에 무조건 밑그림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부였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더라고요.(웃음) 호랑이나 연꽃 등 어려운 주제로만 생각했던 것이 내 주변의 소소한 물건으로도 충분히 한국화를 표현 가능하다는 사실도 알게 됐어요. 특히 화선지에만 그려야 하는 건 아닌가 하던 생각도, 한지에 여러 번 덧칠하는 기법이나, 몰골법(윤곽선을 그리지 않고 직접 붓에 먹이나 채색을 찍어 그리는 기법), 갈필법 (붓의 물기를 적게 하여 표현하는 법) 등 여러 가지 다양하고 새로운 표현기법이 있다는 것에 놀랐어요.

 

 

Q. 프로그램을 통해 달라진 것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A. 이제 막 재미를 붙이게 됐는데 남은 수업 시간이 1회뿐이라 너무 아쉬워요. 이런 저런 체험을 하는 것에 집중을 하다 보니 이 수업을 듣는 동안은 스트레스 없이 즐거움만 가득했던 것 같아요.사실 2~3회 지도를 받는 다고 해서 미술 실력이 탁월하게 성장하거나 하는 것은 아니잖아요. 그보다 수업을 통해 듣게 되는 재미난 이야기와 그림에 대한 역사나 마음가짐에 대한 배움은 곧 그분에 대한 존경심으로 자리하게 되는 것 같아요. 그만큼 자신의 미래에 대한 의지가 조금 더 확고해지는 것, 그것이 가장 변화였어요.

 

주변을 보는 새로운 시선을 배우는 시간 _ 이윤희 학부모

 

Q. 명예교사 프로그램 참여 계기는 무엇인가요
A. 엄마로서 딸과 함께 수업을 들어 볼 수 있는 기회가 그렇게 많진 않으니까요. 게다가 딸이 가락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인데 미술 대를 목표로 공부를 하고 있어요. 그래서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를 하게 됐죠. 물론 저 역시 평소 한국화에 대한 호기심이 있었고요. 가르치신 분이 유명한 한국화가인데, 언제 이런 기회를 제공 받을 수 있겠어요. 이렇게 좋은 프로그램을 무료로 체험할 수 있어서 무엇보다 고마웠어요.

 

Q. 프로그램에 참여한 소감을 말씀해주세요.
A. 우리나라의 예술분야는 대부분 입시위주의 교육이기 때문에 학교나 학원에서는 아트적인 부분을 배우고 특별히 체험 식의 교육을 따로 하는 건 없는 것 같아요. 게다가 분야를 전문적으로 전공하는 사람만 학습하게 되는데 한국화는 소질이 없어도 꼭 알아야 할 우리의 뿌리가 아닌가 해요. 우리나라 사람이 한국어를 배워야 하듯 한국화를 기본적으로 꼭 알아야 한다는 생각으로요.

 

Q. 프로그램을 통해 달라진 것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A. 부모가 자녀와 함께 하는 수업이기 때문에 평소 궁금했던 딸 아이의 학습태도를 옆에서 볼 수 있으니 좋았어요. 물론 함께 교육을 받으니 공유할 수 있는 이야기도 많아지고요. 저 개인적으로는 다시 학창시절로 돌아간 기분이었죠. 제가 학교를 다닐 때 만해도 미술시간에 한국화를 배웠거든요. 물론 단순히 그림을 그리는 방법에 대한 학습이지 그림을 통해 다른 무엇을 배운다는 것은 생각해 볼 수 없었어요. 결과적으로 기억에 남는 것은 한지에 먹으로 서예를 배웠던 기억뿐인걸요. 그런데 이번 교육은 무조건 그림을 그려내는 게 아닌 사물을 세심히 관찰하는 방법을 배웠어요. 새로운 시선을 가지고 주변을 보는 법, 전에는 몰랐던 사물에 대한 새로운 시선을 배우게 됐어요.

 

 

그림을 통해 우리 문화를 배우는 수업 _ 김주령 보조교사

 

Q. 명예교사 프로그램 참여 계기는 무엇인가요.
A. 오랜 시간 동안 아이들에게 미술을 가르쳐왔지만 아이들뿐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들을 포함해 한국화를 배울 기회는 많지 않아요. 물론 입시 위주의 미술교육에서는 서양화나 소묘 등이 대부분이어서 동양화를 배울 기회는 더더욱 거의 없어요. 우리 것을 배워야 할 우리 아이들인데 말이죠. 그런데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들뿐 아니라 누구나 한국화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서 너무 좋았어요. 저 또한 어떻게 배우게 될지 궁금해 참여하게 됐고요.

 

Q. 프로그램에 참여한 소감을 말씀해주세요.
A. 혹시나 고리타분하거나 어렵게 느껴질까 걱정이 되기도 했는데, 전혀 그렇지 않았어요. 한국화는 어렵다라는 편견을 깨고 오히려 쉽고 재미있는 요소가 많다는 것을 배우는 시간이었어요. 결코 학습적인 것에 얽매여서는 배울 수 없는 것들을 얻을 수 있었죠.

 

또한 이번 프로그램은 미술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든 관심이 없는 사람이든 상관없이 우리나라 학생이라면, 누구라도 꼭 한번쯤은 들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우리 미술을 배우면서 우리의 것을 알아가는 과정, 우리 미술만이 가지는 아름답고 멋진 수묵기법 등 단순히 그림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문화를 함께 배울 수 있으니까요.

 

Q. 프로그램을 통해 달라진 것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A. 이번 김선두 명예교사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방법을 배운 것 같아요. 특히 우리나라 아이들이나 어른들이 지금껏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데 너무 인색했던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했어요. 그림을 그리기 전,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기 위해 시간을 갖는 것, 다른 사물이나 물건을 관찰하고 그리기 위한 표현법을 찾는 것 등 보통의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니 아이들은 흥미를 느끼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보다 자연스럽게 표현해내는 변화가 보였던 것 같아요.

 

4년 전 미국의 작가이자 미래학자인 앨빈 토플러(Alvin Toffer)는 한국을 방문해 “한국 학생들은 하루 15시간 동안 숨 쉴 여유 없이 학교와 학원에서 교과서에 압축된 지식을 배우는 데 온갖 힘을 쏟아 붓느라 정작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역량들을 키우는 데는 소홀히 하고 있다”는 말로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을 꼬집었다. 그리고 2012년, 지금의 우리는 숨가쁘게 변화하기보다는 조금씩 서로에게 배우며 깨닫고 있다. 앨빈 토플러가 말한 ‘미래가 원하는 역량을 키운다는 것’은 아마도 자신이 원하는 것에 대한 배움을 게을리 하지 않고, 자신이 가진 재능을 남들과 나누는 사람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것이 아닐까 한다.